삶의 환경을 통제해야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시대의 생활환경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더럽혀져있다.
우리는 타고난 흡수능력이
온갖 독소들을 흡수해버리지 않도록
환경을 잘 통제할 필요가 있다.
아파선 안 된다.
죽지않고 살아남아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방법을
반드시 터득해야 한다.
그래야 이를 기반으로 자유를 얻고
진정으로 나다운 나를 발견해
최고의 우리자신을 구현해낼 수 있다.
독소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한 방향성
전체적인 방향성이 중요하다.
가급적 자연 원래의 상태로,
가급적 인공적인 물질이 첨가되지 않는 상태,
소위 ‘친환경’ 상태로.
지금까지 의학분야나 과학기술분야에서
얼마나 유해성이 입증되었는지는
생각보다 중요치 않다.
왜냐하면,
너무 많이, 너무 자주 결론이 뒤집히기 때문이다.
천하를 다 가진 진시황이 수은을 먹은 걸 두고 비웃지만,
사실 지금 이 시대도 그리 다를 건 없다.
적어도 먼훗날 미래의 인간들이 우릴 보며 그리 느낄 건 확실하다.
친환경적이라고 종이빨대를 도입했다가
발암물질이 다량 검출되어 중단한 게 작년말이다.
불과 2주 전에는 미국 정부가 처음으로
수돗물에 불소를 많이 함유시키면 아동의 IQ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고
공식인정했다.
어느시대나
그 시점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선도적인 연구결과라고 믿었던 발견들이
훗날 알고보니 바보같은 결론을 내린 일이었다는 걸 알게 되는 일은
너무 비일비재해서 말하자면 끝도 없다.
그러니, 큰 방향성만 들고 가면 된다.
가급적 가공을 거친 인공물질을 첨가하지 않는 방향으로
환경을 통제하자.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
식기나 조리기구는
플라스틱 대신 유해물질이 적은 스테인리스나
유리, 도자기로 된 기구를 사용해라.
가급적 천연성분의 비누나 세정용품을 사용하고,
인공향료가 들어간 제품 대신 무향제품을 써라.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되지 않은 용기들을 사용하고,
세제 또한 천연세제를 이용해라.
자주 환기를 시키고 미세먼지를 가급적 피해라.
플라스틱 등의 인공물질을 고온에 노출시키지 말고,
손을 자주 씻고 스마트폰을 자주 청소하라.
순면, 린넨, 울 등 천연섬유로 된 옷을 가급적 입도록 하고,
합성섬유가 많거나 구김방지 등 여러 기능이 들어간 소재의 옷은 피해라.
쓰자면 끝이 없지만,
앞서 말했듯이 핵심은 일관적인 방향성이다.
자연 원상태 그대로가 많이 유지되는 소재의 생활용품들을 가급적 많이 쓰고,
과학적으로 유해성이 검증되었든 아니든
가공이나 인공합성과정이 많을수록 피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