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심리상담

  • 잔소리하는 놈들이 미친 X들인 이유

    잔소리하는 놈들이 미친 X들인 이유

    잔소리 ㄴㄴ

    난 잔소리를 싫어한다.
    왜냐하면, 나는 잔소리를 잘 안 듣기 때문이다.

    ‘아니, 안 들으면 싫어할 이유는 뭐냐 ㅋㅋ’
    라고 묻는다면.
    나의 대답은 이렇다.

    잔소리하는 애들은,
    잔소리를 안 듣고 말없이 지그시 쳐다만 보고 지나가면.
    화를 낸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십중팔구는 그렇다.

    고로,
    잔소리하는 X들은 미친 X들이다 ㅋㅋ

    경계

    책 ‘지옥살법’에도 썼지만,
    경계가 중요하다.
    모든 심리상담, 심리분석, 모든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바로 ‘경계’를 명확히 하는거다.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의 경계를
    명료하게 세우고 자각해야 한다.

    경계를 세우는 원칙은 간단하다.
    그리고 그 결과도 간단하다.
    대략적인 결과의 윤곽은 이렇다.
    나는 내 통제영역 안에 주로 있고,
    나 이외의 타인, 미래, 세상, 그 모든 것들은
    사실 내 통제영역 밖에 주로 있다.
    … 끝이다.

    자 그럼 이 경계의 관점에서 봐보자.
    누구나 다 알지만 모두가 잘 이해하지 못한 채 사는
    이 원칙을 알게 되면
    많은 것들이 명료해진다.

    잔소리의 본질

    기본적으로 잔소리의 목적은,
    나의 의견이나 시각, 생각을 상대에게 전달해서
    상대가 내 의견의 영향을 받아
    내 생각대로 좀 더 변화하거나 행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게 잔소리의 목적이다.
    즉, 잔소리는 근본적으로
    내가 아니라 타인을 내 뜻대로 한 번 통제해보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시작된다.

    근데 아까 말했듯이,
    이 원대한 포부는 우리의 통제영역 밖에 있는 걸 움직이려고 하는거다.
    상대, 타인은 기본적으로 내 통제영역 밖에 존재한다.
    근데 일단 잔소리는
    내 영역 바깥의 그의 영역을 내 영역으로 점령해보고자 시도하는
    진취적인 기상이 묻어나는 행동이다.

    자, 그러면 이제
    잔소리를 듣는 ‘피잔소리자’의 입장을 봐보자.
    나는 ‘피잔소리자’로서,
    내 영역에 들어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관철시키고 싶어하는 ‘잔소리꾼’의 침략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나는
    그를 쫓아내야 하는가.
    이 잔소리의 세계에서는
    실제 전쟁처럼 쫓아내고 물리치고 그런 게 없다.
    그저 그냥 무시하면,
    그는 내 영역으로 들어와 나를 어찌 통제하지 못한다.
    내 목에 쇠고랑을 걸고 힘으로 자기가 원하는 행동을 시키지 않는 이상 ㅋㅋ

    ‘잔소리꾼’에게
    ‘내 영역으로 침범하려고 하지 말아라!!’
    라고 하는 건 어떤가.
    이건 이제
    내가 거꾸로 상대의 통제영역을
    내 의지나 생각대로 통제해보려는
    ‘거꾸로 된 침범’을 의미한다.
    사실 상대가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이나 행동을 하고,
    어떤 시도를 하는 건
    근본적으로 그의 자유다.
    우리의 자유는
    그의 그 자유를 우리 뜻대로 못하게 억누르는 것까지 포함하진 않는다.
    그래서 우리가 손쉽게 떠올리는,
    “아니 잔소리 좀 하지마!!”
    라고 말하는 반응은,
    협상과 대화의 시도가 될 순 있으나,
    사실 근본적으로는 상대의 영역을 침범하려는 행위다. 그가 우리에게 잔소리를 했듯이,
    우리도 그에게 똑같이 잔소리를 하는 셈이다 ㅋㅋ

    그러면 어쩌라고… ㅋㅋ

    잔소리꾼의 잔소리가 휙 날아오면,
    우리는 그저 우리의 통제영역 안에 있는 우리의 생각과 말과 행동을 통제하면 그뿐이다.
    즉,
    ‘그냥 개가 짖나’
    하고 무시하면 된다.. ㅋㅋ
    이런 상황에서 ‘피잔소리자’는 대개
    상대를 우리 뜻대로 한 번 통제해보려고 하는데,
    그건 잔소리꾼의 잔소리와 비슷한 시도라 볼 수 있다.

    잔소리꾼의 극대노

    자, 이제 그럼 우리는
    우리의 통제영역 안에서 가볍게 잔소리를 무시하고 지나간다고 해보자.

    이제 여기서
    내가 잔소리하는 놈들을 상태 안 좋다고 보는 대목이 등장한다.

    잔소리꾼은
    극대노한다.
    ‘내 잔소리를 귓등으로도 안 듣다니..!’

    이걸 경계의 관점에서 보면,

    1. 잔소리꾼은 내 앞의 상대방을 내 뜻대로 한 번 움직여보려고 잔소리를 던지고,
    2. ‘피잔소리자’는 날아온 잔소리를 그냥 무시하고 내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했다. 즉, 내가 어찌 반응할지를 내가 스스로 정한 것이다.
    3. 잔소리꾼은 상대방이 스스로 자기자신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결정한 것에 대해 매우 분노한다.

    자, 들어보니 어떤가.
    잔소리꾼은
    애초에 무례한 시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가 나에게 똑같은 짓을 한 것도 아니고
    그냥 자기자신의 반응방식만을 결정했을 뿐인데
    그거에 다시 극대노하는 것이다.
    ‘날 무시하다니!!’
    이러면서.

    그래서 잔소리하는 놈들은
    거의 태반이 미친 X들이 맞다 ㅋㅋ

    지금 뜨끔하고 있다면,
    아무도 안 볼 때 남몰래 조용히
    본인자신과 한 번 담소를 나눠보길 강하게 권한다.
    삶이 윤택하고 쾌적해지는 과정에
    아주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 이제 원내신인 하러 가보자.

  • 나의 분노가 암시하는 세가지 사실

    나의 분노가 암시하는 세가지 사실

    나의 화는
    몇가지를 스스로 드러내는데,
    그 중 세가지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이야기해보자.

    첫째, 경계의 착오

    누군가 내게 상해를 입히거나
    생명에 위협을 가하지 않는 이상,
    일상에서의 거의 모든 화는
    아직 명확히 확립되지 않은 경계선을
    드러내는 표식이다.

    삶은 원래 잔혹하다.
    각자는 각자의 자유라 믿는 걸 행사할 뿐이다.
    그 잔인하고 처연한 진실이
    우리 앞에 드러나는 일은
    드물지만 의외로 빈번하다.

    감정이 생존을 위해 진화해왔다곤 하나,
    전쟁터가 아닌 일상에서 우리에게 유익한 건
    자유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지 감정이 아니다.

    감정은 우리를 수렵시절로 돌려놓고
    우리는 불필요한 소모와 제살깎아먹기를
    자동으로 가동시키게 된다 ㅋㅋ

    옳든 옳지 않든
    그게 얼마나 잔인하든
    그것과 무관하게
    각자의 경계는 자기자신으로 한정되어있다.

    둘째, 위협의 출현

    화는,
    그것이 내게 위협이 되었다는 증거다.

    상대가 꼬마아이든,
    젠틀한 지식인이든,
    드라마 속 인물이든,
    그건 전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화가 났다는 것이고
    그건 결국 무언가가
    우리에게 명백하게 위협이 되었다는 걸 의미한다.

    인간의 감정은
    생존을 위해 진화해온 것이다.
    내 생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면,
    그것이 나를 진정으로 화나게 하지는 않는다.

    명심해라.
    우리를 화나게 하는 모든 것은
    어떤 형태로든 내게 위협이 되는 것들이다.
    위협할 수 있는 힘을 잃게 되면,
    더이상 그것은 우리를 화나게 만들지 못한다.

    셋째, 화를 내지 않는 두가지 경우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은 두 경우다.
    애초에 나의 위상을 낮추고
    철저하게 상대를 거스르지 않거나,
    일상의 많은 것들이
    내게 위협으로 느껴지지 않거나.

    전자와 후자의 차이는.
    전자는 화를 ‘내지’ 않는 것에 그치지만
    후자는 화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내가 심리상담 현장에서
    일관적으로 느껴온 건
    사람들은 의외로
    화가 ‘나는’ 것과 화를 ‘내는’ 것을
    혼동한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둘은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나보다 타인이 너무나 중요해서
    내면에서 화가 나냐 안 나냐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치부해버릴 때가 많다.
    대신 화를 내냐 안 내냐가 늘 핵심이다.
    이건 타인에게 드러나니까.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몸을 낮추고 고개를 숙인 채
    내면에서 화가 나든 안 나든
    일단 화를 내지 않고 친절하게 군다.
    그리고 삶의 어느 순간엔가
    무시해왔던 내면의 화가 터져나오면
    그 때부터 엄한 일(?!)을 하기 시작한다 ㅋㅋ

    이게 전자의 이야기다.
    하지만 후자는 그렇지 않다.
    오랜시간 나를 잘 조각해서
    충분히 강인하고 성숙해진 인간은
    화가 잘 나지 않는다.
    일상 속에서
    내게 위협이 될 일이 적기 때문이다.

    조금 더 와닿는 이해를 위해,
    니체의 인간관을 잠시 이야기해보자.
    인간은,
    낙타 -> 사자 -> 아이
    가 되며 이상적인 인간이 되어간다고 했다.

    묵묵히 아무리 힘들어도 참고 견디며
    군말 한마디 없이 짐을 나르는 낙타,
    그저 내가 지금 기쁘고 즐거운 것에
    눈치보지 않고 마음껏 몰입하며 사는 아이,

    사자를 뺀 이 두가지 단계의 인간이
    각각 화를 내지 않는 두 경우의 전자, 후자다.
    낙타도, 아이도
    화를 내지 않는다.

    기회

    화는,
    기회다.
    나를 이해하고 돌아볼 수 있는 기회.
    오늘 우리가 나눈 세가지 이야기를
    잘 기억해두었다가,
    삶을 윤택하게 조각해나가는 데
    유용하게 써먹어보자.
    이런 게 하나 하나 쌓이면,
    삶은 몰라보게 쾌적해져간다.

  • 모르지만 아는 척 하는 자와 알지만 티내지 않는 자의 차이

    모르지만 아는 척 하는 자와 알지만 티내지 않는 자의 차이

    둘의 차이

    모르지만 아는 척 하는 자.
    알지만 굳이 티내지 않는 자.

    이 두사람 간의 가장 큰 차이는 뭘까.
    체면?
    사회적 지위?
    영향력?
    인품?
    평판?
    능력?
    부?
    명예?

    과연 이 두사람의 삶은
    어떤 측면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날까.
    이 두사람의 가장 큰 차이는
    불안이다.
    진짜 나를 들킬지도 모른다는 불안.

    학벌,
    연봉,
    번듯한 직장,
    외모,
    서사,
    감정,
    태도,
    그 어느것에서라도
    그럴싸한 척을 하거나 연기를 해야하는 순간,
    인간은 불안해진다.
    더이상 직위가 박힌 명함이 없는
    날 것 그대로의 나,
    갑옷을 벗어버린 맨몸뚱아리의 나를
    과연 사람들은 어떻게 바라볼까.

    그렇게 배우가 된다

    이 불안은 인간을 옥죈다.
    그리고 대개 이건
    우리가 배우가 아님에도
    배우로 살아가기 시작하는
    가장 근원적인 계기
    가 된다.

    불안한데 하나도 불안하지 않은 척,
    질투가 나는데 전혀 질투나지 않는 척,
    모르는데 아는 척,
    겁나고 두려운데 겁먹지 않은 척,
    주눅이 드는데 주눅들지 않은 척,
    화가 치미는데 화나지 않은 척,
    안 착한데 착한 척,
    친절하지 않은데 친절한 척,
    안 멋진데 멋진 척,
    약한데 약하지 않은 척,
    가지지 못했는데 가진 척,
    좋아하는데 좋아하지 않는 척,
    싫어하는데 싫지 않은 척,
    못 하는데 잘하는 척,

    이거 뭐… ㅋㅋ
    다 쓰려면 밤샐 거 같다.

    사는 게 피곤하고 지치는 한가지 이유

    하고싶은 말은,
    우리가 사는 게 지치고 피곤한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자꾸 ‘척’을 해야돼서다.

    ‘척’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와
    삶이 쾌활하고 청량한 정도는
    정확히 비례한다.

    왜 그럼 우리는
    그렇게 사는 내내 척척척 해대느냐.
    하다하다 척하지 않으면,
    사회성이 없니,
    개념이 없니
    그리 좋으면 지 혼자만 ‘척’하면 되지
    나는 하는데
    옆의 사람은 척 안 한다고
    ㅈㄹ을 떠는 성가신 세상이 되었느냐.

    … 그건 옥살법 Lv14와 Lv15에 걸쳐서
    이해하기 쉽게 써해두었다.
    (… 근데 아직 책을 쓰는 중이라는 게 함정…)

    비밀을 말하자면,
    ‘척’하지 않아도 된다.
    안 믿기겠지만,
    진짜다.

    의아하다면,
    오늘 하루 내가 조금이라도
    ~척 한 게 있다면
    왜 그랬는지 그 이유를
    타고타고 올라가보기 바란다.

    느낌이 올 것이다.

    P.S) 제목의 저 두가지 부류의 인간,
    즉 몰라도 아는 ‘척’하는 인간과
    알지만 티내지 않는 인간은
    결국 전혀 다른 존재로 살다 간다.
    전자는 ‘피해자’로,
    후자는 ‘조각가’로.

    조각가로 살자.
    특별한 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할 수 있다.
    지금 ‘옥살법’을 집필 중인 나의 목적은
    단지 그것 하나다.

    힘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