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이 최고 중요하다
어떻게 운동을 해야 할까.
우리 몸에 맞게 적절한 강도로
운동을 하는 게 중요하다.
운동자각도라는 개념이 있다.
스포츠의학 등 관련 분야에서는
인간의 분당 심박수 범위를 대개 60~200 사이로 보고 있고,
여기서 0을 하나 빼서
운동자각도를 6~20 사이의 어떤 숫자로 칭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운동자각도가 13~14를 넘기기 시작하면
체내에서 젖산이 생성되는 속도가
제거되는 속도보다 빨라진다.
이는 곧, 몸에 젖산이 축적되게 됨을 의미한다.
그런데 우리가 전문가가 아니고서야
이걸 매번 측정해가며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에겐 절묘한 신의 선물이 있다.
그건 바로 우리 몸과 마음의 느낌이다.
그거면 된다.
실제로 젖산이 축적되어가면,
소위 ‘기분’이 점점 나빠진다.
즉, 운동을 하면서 기분이 영 좋지 않다면,
너무 무리한 강도일 가능성이 다분하다.
이게 근육량을 늘릴 수 있을까,
살을 빠지게 할 수 있을까,
제대로 된 운동강도일까,
이런 온갖 불안한 생각에 사로잡혀 운동을 무리하게 하면
운동하기가 점점 싫어지고 운동이 버거울 뿐이다.
운동을 하는 동안,
그리고 운동을 마치고 나서,
느낌적으로 딱
기분이 상쾌하고 좋았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그게 바로 최적의 운동강도다.
최대산소흡기량의 80%이니,
1회 리프팅가능한 최대중량이니,
220에서 최대심박수를 빼고 계수를 곱하느니
올바른 운동강도에 대한 온갖 이론들이 많으나,
운동강도에 관한 건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고민하지 마라.
그냥,
느낌이 좋아야 한다.
다르게 말하면,
느낌이 좋으면 그걸로 된거다.
어떤 운동을 해야 하는가
어떤 운동이든 좋다.
몸이 상하거나 다치지만 않는다면,
어떤 운동이든 옳다.
다만, 몸상태가 좋지 않고
컨디션이 나쁜 상태로 지내온 기간이 길수록,
가벼운 운동부터 찬찬히 시작해야 한다.
처음은 당연히 걷기다.
걷는 운동은
마치 노약자에게나 필요한 것처럼 치부되곤 하지만,
걷는 것이야말로
우리 몸의 모든 것을 조화롭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언제든지 할 수 있는 운동의 ‘근본’이다.
아주 천천히 운동강도를 높여가야 하고,
몸이나 마음에 통증이나 불쾌감 등 신호가 오면
반드시 적응될때까지 충분한 시간을 들여
그 강도에서 머물렀다가 다시 강도를 올려야 한다.
그리고 그게 되고 나면,
빠르게 걷는 구간을 더하고
나중에는 아주 느리게 달리는 구간을
1분씩 더하며 계속 걸어라.
그게 익숙해지면
점점 경사가 가파른 길을 걷다가 뛰다가 해라.
어느 순간이 되면
쉬지 않고 계속 달릴 수 있는 순간이 올 것이다.
물론 내리막에서는
너무 과하게 달려서 무릎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달리기로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 전체적인 신체밸런스가
많이 향상되고 나면
이제는 근력운동을 조금씩 섞어서 시작해라.
헬스든 맨몸운동이든 무관하나
중요한 건 충분히 웜업을 한 후
운동강도를 찬찬히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 또한 점점 수행능력이 증가할 것이고,
그 후로는
세상으로부터 나자신과 내 소중한 사람을 지킬 수 있게끔
어느 정도 신체적인 통제력과 대처능력을 기르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무엇으로부터 나와 소중한 사람을 지켜야 하는지와
어떤 운동이 도움이 될지에 대한 건
Lv7에서 이야기하게 될 것이다.
일단은
아프지 않고 살아남아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
걷기 운동부터 달리기까지만 꾸준히 실천하자는 것으로
시작해도 결코 늦거나 허접하지 않다.
어떻게 운동을 해야 하는가
운동 전후에는
반드시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근육을 늘려주고 근막을 풀어주는 일은
정말 부작용이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럼에도 스트레칭은
운동의 효과를 올려주고
부상을 예방하며
신진대사를 활발히 해
건강을 촉진시킨다.
사실상 유일무이하게
단점이 없는 운동의 형태라고 볼 수도 있으니,
지루하다 생각하지 말고 반드시 하자.
두가지 유의사항
살아남기 위한 나머지 두가지 기둥.
즉, 잠과 밥과 관련해서
유의사항들이 있다.
우선 잠과 관련한 유의사항.
잠들기 위해 하는
잔잔한 수준의 가벼운 운동은 괜찮으나,
몸이 어느 정도 저항과 스트레스를 충분히 느낄 정도의 운동은
잠들기 4시간 전부터는 하지 말아야 한다.
코르티솔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로
잠의 질을 현격히 떨어뜨리는 것도 문제지만
그 전에 일단 잠 자체가 안 올 가능성이 높다.
밥과 관련한 유의사항.
위장에 음식물이 들어있는 상태로 운동을 하게 되면,
소화를 위해 일어나는 신체변화나 호르몬 변화와
운동이 충돌하게 된다.
그러니 식사 후 3~4시간 안으로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게 좋다.
운동은 공복에 하는 게 국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