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의 3단계

모든 창작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누르세요.)
고로,
음악을 만드는 일 또한
언젠가 말한 글쓰기의 3단계나 영상 제작의 3단계처럼
3단계로 이루어진다.

작곡 -> 편곡 -> 공개

1단계. 작곡

우선 첫번째 단계인 ‘작곡’이다.
이 단계는 다시 3개의 소단계로 나뉜다.

즉흥선율 -> 시놉시스 -> 작사,작곡

이렇게 3가지 소단계로 나뉘는데, 하나씩 살펴보자.

즉흥선율(=휘갈겨쓰기)

일상 속에서,
자다가,
버스타고 있다가,
떠오르는 내 감정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선율을
기록하는 일이다.
(난 주로 흥얼거리며 녹음을 떠두지만,
악보에 써도 된다. 난 악보가 영 어려워서… ㅋㅋ)

가장 태초의 내 예술성과 잠재력, 개성을
현실로 구현해내는 원석을 잉태해내는 작업이다.

시놉시스

시놉시스는
글쓰기나 영상제작과 매한가지로 반드시 필요하다.
결국 우리가 무언가를 창조해서 예술작품으로 만들어낼 때는,
우리 영혼의 일부분,
내면에 깃든 예술성의 어떤 한 측면을
세상에 구현해내고 싶은 마음으로 창작활동을 한다.
무얼 어떤 구성으로 예술작품으로 구현해내고 싶은지를 쓰는 부분이므로
시놉시스를 작성하는 단계는
여타 창작과 마찬가지로 음악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글쓰기나 영상제작과 유사하다.

감정선 -> 구간나누기 -> 구간별 테마(SongForm)

실선으로 감정선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지를 그려본다.
쉽게 기승전결을 그려본다고 생각해도 좋다.
그 후, 몇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별 테마나 주제를 간단한 단어나 문장으로 적어본다.
이게 이 곡 전체의 SongForm이 된다.
SongForm이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싸비’나 ‘벌스’ 같은 것들로 일워진 곡 전채의 뼈대를 말한다.
SongForm의 전개와 각 파트별 분위기, 느낌이 개략적으로 정해지면 시놉시스는 그걸로 족하다.

작사, 작곡

첫째, 작곡

말 그대로 업계에서 이야기하는 ‘작곡’을 한다.
‘업계에서’라는 말이 붙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작곡’은
음악을 아예 통째로 다 만드는 것이지만,
실제로 작곡가들이 하는 작곡은
그저 어느 정도의 코드진행과 멜로디 작업 정도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물론 요즘은 어느 정도의 악기구성이나 작사, 심지어 간단한 믹싱작업까지도 해서 보내는 작곡가들도 많아졌다고 하나,
그 대척점에는 ‘정말 이게 노래인가’ 싶을 정도로 노래를 완결성 없이 ‘적당히 만들다 만 것 같은?!’ 형태까지만 그려놓고 작곡이라 말하기도 한다 ㅋㅋ

작곡단계에서 우리가 만들 것은 크게 3가지다.
그건 바로,
코드진행, 리듬, 탑라이닝(주 멜로디)이다.
어떤 코드로 어떤 형태로 전개가 될 것인지
코드진행의 전체적인 전개를 완성한다.
그리고 간단히 피아노나 기타 정도로
어떤 리듬으로 진행될 지,
그리고 주선율이 될 탑라인이 어떻게 되는지를
적당히 허밍이나 피아노 등으로 만들면 된다.
나는 탑라이닝을 만들 때
악기보다는 허밍을 좋아하는 편이다.

둘째, 작사

이 곡에 어울리는 가사도 같이 쓴다.
가사는 사실
시놉시스를 충실히 작성했다면 의외로 그리 어렵지는 않을 수도 있다.
곡 전체의 분위기, 주제, 그리고 각 멜로디나 리듬에 따라
어느 곳에서 호흡을 할 지,
그리고 곡 각 파트의 대구(대응구조) 등을 고려해서
작사를 한다.

2단계. 편곡

자, 이제 편곡을 시작한다.
1단계에서도 큰 의미에서의 ‘작곡’이 있고 그 하위에 작은 의미에서의 ‘작사,작곡’이 있었는데,
여기도 그렇다.
2단계 편곡은 큰 의미의 ‘편곡’이고,
이 편곡 단계 하위에는 다시 작은 의미의 ‘편곡’과 ‘믹싱’, ‘마스터링’이 있다.

편곡 -> 믹싱 -> 마스터링

편곡

편곡은 쉽게 말해 악기를 배치하는 걸 말한다.
전체적인 곡의 구조, 즉 SongForm에 맞게
악기들을 하나씩 배치해나가되,
각 파트가 진행되면서 고조되고 낮아지는 감정선의 세기나 흐름,
악기 간의 조화나 파트별 분위기 등을 잘 고려해서
편곡을 진행한다.

편곡을 하는 과정에서
주 선율 외에 리프(Riff) 멜로디 등을 루프 형식으로 간단히 라이닝할 일이 생길텐데,
이 작업까지 이 단계에서 한다.
(작사,작곡 단계에서는 주 멜로디만 라이닝한다는 의미다.)

믹싱

이제 믹싱을 할 차례다.
곡 전체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각 악기 간의 밸런스,
악기와 목소리 간의 밸런스,
파트 간의 밸런스 등을
전체적으로 조율하는 일이다.

마스터링

믹싱작업이 끝나고 나면,
이제 정말 음악이 최종 예술작품으로 완성되기 직전에 하는 마지막 작업을 할 차례다.
바로 ‘마스터링’이다.
곡 전체의 음압이나 밸런스 등을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조율해서 완성시키는 작업이다.
여기까지 마치고 나면,
이제 우리가 창작한 예술작품은 비로소 완성이 된 것이다.

3단계. 공개

음악 또한
글이나 영상처럼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음악은 보통 몇분 되지 않는 짧은 형태의 예술작품이기 때문에
글이나 영상처럼 다른 형태로 만들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공개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만약 한다고 하면,
다른 영상이나 작품 등에 내 곡 일부를 깔아서
곡의 분위기나 임팩트를 사람들에게 선보이는 식의 공개가 가능할 수는 있겠다.